안녕하세요 아자러블리 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걱정스럽고 힘들었던 경험 중 하나를 꼽자면 돌이켜보는 경험이었던 것 같아요. 특히 돌잔치 즈음에 열이 나서 밤새도록 발을 뒹굴뒹굴한 경험이 있어서 그때는 왜 그랬을까 하는 걱정도 많이 되었어요. 아이가 아파하는 모습을 보면 원인도 기억나지 않고 당황스러워서 제 경험을 공유드리고 싶습니다.
왜 복귀열이 나는 걸까요?? 돌아가기 예방접종 종류 MMR 1차(홍역, 볼거리, 풍진) 일본뇌염(사백신, 생백신) A형간염 폐렴구균수막염 HIb
1세 정도가 되면 아기들은 꽤 많은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예방접종을 생각해보면 그 종류가 너무 많아서 종류를 일일이 열거하기도 힘들 정도입니다. . 그래서 아마도 발열은 접종된 발열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접종 후 발열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접종은 항원을 체내에 넣는 것이기 때문에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면역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면역력을 키우는 과정입니다. 또한, 접종 발열 외에도 접종한 부위에 붓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접종발열은 24~48시간 이내에 체온이 상승하여 38도 정도의 고온까지 올라갑니다. 보통 접종 후 2일이면 하루 안에 좋아진다고 하는데, 발열이 지속되거나 발열이 계속된다면 다른 질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니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신생아의 경우 접종열이 발생하면 해열제로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6개월 이후 예방접종 발열이 있는 경우 이부프로펜이나 덱시부로펜 등 해열제를 복용하면 된다. 접종 시 해열제 처방을 받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서 접종열이 지속되면 해열제를 주고, 열이 내리지 않으면 교차해서 해열을 돕는다(엄마되기 너무 힘들다…)
접종 발열이 계속되고 아이가 침을 흘리거나 경련을 일으키거나, 발열이 40도를 넘을 경우에는 응급실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달콩이도 접종 후 열이 나기 시작했어요. 38도의 발열이 3시간 넘게 지속됐는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아 당시 챔프레드 약인 아세트아미노펜을 먹이고 뜨겁고 차가운 수건으로 닦아낸 뒤 찜질을 했다. 머리에 패치가 있어서 붙였는데 별로 효과가 없는 것 같아요(계속 버립니다). 발열이 있을 때에는 겨드랑이와 등을 수건으로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비접촉 체온계 두 개와 귀 체온계를 갖고 있었어요. 아이가 아플 때 귀 체온계가 귀찮고 사용하기 어려워서 비접촉식 체온계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비접촉식 온도계 사용 방법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관자놀이 표면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머리에 땀이 나면 기화열로 인해 체온이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등열이 있는 경우에는 접종열로 인한 발열이 있을 수 있으므로 비접촉식 체온계로 아기의 발열을 확인하고 아기의 상태를 살펴보신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재발열 #접종발열 #비접촉체온계 #비접촉체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