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반올림 기능 사용법 및 예제 (Feat. Rounddown 기능)
회계나 통계 관련 업무로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숫자가 버려지거나 올라오는 경우가 많아 엑셀 반올림 기능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이다. 반올림 기능, 반올림 기능도 있는데 오늘 설명할 기능은 엑셀 반올림 기능입니다. ROUNDDOWN 함수입니다. 함수명이 길지만 RO만 입력하면 바로 보여서 사용하기 쉽습니다. ROUNDDOWN 함수는 ROUND 함수의 한 종류로 반올림을 담당합니다. 사용 방법은 ROUND 함수와 동일하지만, 인수 사용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엑셀의 ROUNDDOWN 함수를 기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수점 반올림 기능은 총 3가지가 있는데, 가장 사용하기 쉬운 기능입니다.
Excel 반올림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
ROUNDDOWN 함수는 두 개의 인수를 사용합니다. 첫 번째 자리에 반올림할 값을 입력하고 두 번째 자리에 표시할 자릿수를 입력합니다. 이때 자릿수는 소수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 부분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수점이 기준이므로 소수점 5자리까지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5를 적고 6자리에서 반올림합니다. 그렇게 하려면 0 이상을 입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소수점을 모두 버리고 싶다면 0을 써서 소수점은 버리고 정수부만 선택하면 됩니다. 100의 자리나 1000의 자리까지만 표현해야 하는 경우에는 10의 자리인 -1부터 점차적으로 늘려서 표현하면 됩니다.
엑셀 반올림 기능 사용 예
예를 들어 숫자 532에서 100번째 자리만 표현하고 싶다면 -2를 쓰면 됩니다. ROUNDDOWN 함수는 실제로 1원은 화폐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소수점을 반올림하거나 1의 자리를 버릴 때 주로 사용됩니다. 나는 그것을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소수점을 4자리까지 표시하도록 설정한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실제 사용시 소수점이 없으면 소수점이 보이지 않는데 설명을 하자면 소수점이 4자리까지 강제로 표시되도록 설정해 봤습니다! E3 셀에는 강제로 표시되도록 소수점을 설정했습니다. 4자리까지의 숫자를 입력하고 수식 =ROUNDDOWN(E3, )을 쓰면, 빈칸에 -3~3을 입력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3인 경우에는 백의 자리에서 반올림하고, -2인 경우에는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합니다. 1의 경우에는 1자리에서 반올림됩니다. 0을 입력하면 소수점은 모두 버려집니다. 1을 입력하면 소수점 첫째 자리가 표시됩니다. 2를 입력하면 소수점 둘째 자리가 표시됩니다. 3을 입력하면 소수점 셋째 자리가 표시됩니다. ROUNDDOWN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