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노후계획도시 세부계획 수립 지침과 중동·산본 신도시 신도시의 도시개발 기본계획이 발표됐다. 국토교통부는 경기도 1호 신도시인 국토교통부와 각 지자체가 참여하는 상설협의체를 서울에서 개최해 노후계획도시 기본지침을 공유하고 중동·산본 신도시 기본계획의 도시개발 비전, 전략적 이전 대책, 광역교통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기본지침을 지자체에 공개하고 의견 수렴을 거친 뒤, 노후계획도시개발특별위원회의 의견 수렴과 심의를 거쳐 10~11월에 기본지침을 확정할 계획이다. 기본계획(안) 국토교통부와 부천시, 군포시는 중동·산본 신도시 기본계획을 공개하고 공청회를 시작한다. 중동뉴타운은 “미래를 닮은 새로운 중동”이라는 비전으로 재개발된다. 산본뉴타운은 양질의 주거공간과 자립형 인프라 확충으로 재창조된 “RISE-UP 산본”으로, 안양시의 비전으로 재편해 8월 말 평촌뉴타운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이후 성남시(분당), 고양시(일산)에서 각 지자체 보도자료를 통해 공고한 후 주민공람을 시작한다. 2027년 1차 공사착공 목표 국토교통부는 국민주택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계획에 따라 노후계획도시 개발을 더욱 가속화해 2027년 1차 공사착공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할 계획이다. 개발사업을 가속화하고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시한 대책 대부분은 1차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사업시행관리 및 처분계획 동시 수립, 조합설립 동의요건 완화(75→70%, 자치구당 1/2→1/3), 공공관리자 도입, 분쟁의 신속한 해결 등 간소화된 절차가 노후계획도시에 전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주택연금제도 개선, 초기사업자금 지원, 대출보증 규모 확대 등의 세제·재정 지원 대책도 갈등요인을 대폭 줄이고 1차 신도시 등 사업의 속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1차 신도시 개발을 통해 2029년까지 허가 8만8,000건, 건축허가 4만6,000건을 추진하고, 1차 신도시 개발을 통해 10만 가구 이상을 추가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우진 국토교통부 도시개발기획과장은 14일 중동산본 신도시 기본계획(안)을 국민에게 공개하고, 분당 등 기본계획도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첨부파일: 고령화 계획으로 도시개발 본격 추진 기반 마련. 파일 다운로드: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마이박스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