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테일소닉 입니다. 어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회가 가결되어 증여세 면제 한도와 최저과세 구간이 확대되고, 증여세 분할 기간도 15년으로 늘어나면서 많은 언론에서 다뤄졌습니다. .
이번에는 사업자 대표님들에게 꼭 필요한 증여세 면제 한도 및 공제(신혼부부, 미혼자, 자녀가 있는 가정, 가업승계, 자녀 세액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증여세 면제 한도 공제(결혼, 출산, 결혼+출산, 미혼) 먼저, 결혼과 관련하여 증여세는 가족당 최대 1억 5천만원, 두 가족 합산 최대 3억원까지 면제됩니다. 이는 기존 부모 등에게 증여할 수 있는 5억원(10년 이상) 한도에 추가로 최대 1억5000만원까지 면제 한도가 늘어난다.
또한, 결혼뿐만 아니라 출산, 결혼+출산도 선택할 수 있으며, 최대 1억원까지 증여세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녀를 원하지 않는 미혼부부, 미혼모에게도 적용 가능하므로, 결혼하지 않은 경우에도 출산공제가 가능합니다. 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브룩카글, 출처: Unsplash
2. 사업자에 대한 가업승계 완화 이전에는 가업승계 재산가액이 6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증여세율 20%가 적용되어 부담이 컸습니다. 60억 원은 많은 것 같지만 실제 기업가치를 평가해 보면 무형자산(특허, 매출, 상표권 등)으로 60억 원은 생각보다 크지 않습니다. 이에 이번 협약은 올해 120억원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변경됐다. 가업의 승계를 준비하고 있는 사업주라면 이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정부는 최대 300억원까지 제안했으나 축소됐다고 한다.)
※30년 이상의 경영경력을 보유한 중소기업 경영자의 81%가 60세 이상이라고 합니다. 또한, 가업승계 증여세와 관련하여 부동산 등을 담보로 하고, 세금을 일정 기간에 걸쳐 분할 납부하는 연간 납부제도가 현재 5년이다. 향후 15년까지 연장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3. 자녀 세액공제 확대 현재 첫째, 둘째 자녀는 15만원, 셋째 자녀는 30만원이 공제된다. 앞으로는 첫째, 셋째 자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공제되며, 둘째 자녀에 대해서는 20만원이 공제된다. 3자녀 가구의 경우 최대 65만원까지 공제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Unsplash의 charleingracia
4. 기타 외에 2024년에는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증가분에 대한 추가공제가 신설되었습니다. 공제대상은 급여총액의 25%를 초과하여 사용된 금액, 급여총액의 10%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증가분은 2024년 소득에서 공제되며, 공제한도는 100만원이다. 월세 세액공제의 경우, 앞서 연말정산 포스팅에서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다뤘으니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년 연말정산 세법 개정안(가정세 미리보기 점검포인트) 디테일소닉 입니다. 이번에 국세청에서 발표한 2023년 연말정산을 위한 개정 세법 개요(자택세 미리보기…blog.naver.com) 현재 월세 세액공제 가능금액은 7.5원입니다. 총액(연봉) 7000만원 이하 기준 연간 1000만원에서 8000만원 이하 금액에 대해 연간 최대 1000만원까지 공제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농협·수협·신협·새마을금고의 기부금 비과세 한도도 현행 1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인상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증여세 면제 한도 및 공제사항입니다. (신혼부부, 자녀가 있는 미혼가구, 가업승계, 자녀 세액공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살펴보았습니다. 현재 내용이 완전히 확정되지 않은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024년 예산안과 함께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됩니다.(현재로서는 가능할 수도 있겠네요. 굉장히 높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