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경제 블로거, 컨트리 오리입니다. 오늘은 24년 연금저축펀드 ETF 내용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 ETF의 의미 연금저축펀드 ETF(Exchange Traded Fund)는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여 장기적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ETF와 펀드에 투자하여 번 돈을 은퇴 시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는 세금절약계좌를 의미합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세금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개별 연금상품에 가입했을 수 있지만, 그 외에도 다른 장점들이 있습니다. 복리효과 : 창출된 이익과 배당금을 재투자하여 복리효과로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 세금유예 : 창출된 이익에 대한 세금을 즉시 납부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기 가능 연말정산 : 투자금액에 대한 세액공제를 통한 절세혜택 장점 : 연령, 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하며, 55세부터 연금처럼 받을 수 있음 다만, 그때까지 돈이 묶여 있다는 단점이 있음 다른 투자를 통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인생에서 갑자기 일시금이 필요할 때가 올 것임 매우 좋은 상품이지만, 이런 이유로 모든 사람에게 추천할 수는 없음. 하지만 이점은 이를 보상하기에 충분함. 세액공제연봉이 5,500만원 이하이면 16.5%의 세액공제(최대 99만원)를 받을 수 있습니다.연봉이 5,500만원을 넘으면 13.2%의 세액공제(최대 79만원)를 받을 수 있습니다.소득에 따라 위와 같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세액공제 한도는 600만원이며, IRP를 포함하면 최대 900만원까지 총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연말정산은 직장인에게 13월급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날이며, 이때 환급을 받으려면 연금저축이 필수입니다.세금연기 투자로 발생한 이익에 대해 즉시가 아닌 나중에 세금을 낼 수 있는 세액공제 혜택을 말합니다.투자자가 자산을 보유하는 동안 세금을 연기하고 해당 자산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엄청난 혜택입니다.복리효과 복리이자는 장기투자를 하는 연금저축계좌에서 큰 장점입니다. 예를 들어 A씨가 연금저축계좌에 1,000만원을 투자해서 연간 10%의 배당이자를 받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년 후 A씨의 투자금은 1,100만원이 됩니다. 보통 이 100만원에 세금이 부과되지만 연금저축계좌에서는 이 세금이 바로 부과되지 않고 A씨는 이 금액을 계속 투자할 수 있습니다. 수령 시 세율 연금저축펀드는 55세 이상부터 수령이 가능하며, 시기에 따라 세율이 부과됩니다. ISA가 비과세금액 이후 9.9%의 세율을 부과하는 반면, 연금저축펀드는 3.3~5.5%의 낮은 세율을 부과합니다. 단점 앞서 말씀드렸듯이 55세 이전에 돈이 묶여버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일시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결혼, 집 구입, 가족 등 다양한 이벤트가 우리의 삶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물론 해지가 가능하지만, 처음 넣은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내게 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해지 사유에 따라 부과되는 세율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주택을 매수하면 무려 16.5%가 공제됩니다. 특히 소득이 5,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해지 시 세율이 16.5%로 기존 예상 세액공제율보다 높습니다. 또한 연말정산 시 받은 공제액을 모두 납부해야 하므로 상황이 매우 심각하지 않은 이상 해지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추천 가입 대상 추천 가입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시금은 없습니다. (결혼, 주택 매입) 일시금은 있지만 수입은 충분합니다. 사회 초년생이시고 이런 경우가 아닌 분들은 3년 만기의 ISA 계좌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기 3년이 되면 ISA에서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하면 만기금액의 10%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24년 연금저축펀드 ETF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 주제는 어떤 ETF를 사는 게 좋은가입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