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이슈브리프 ‘도시홍수 예측부터 대응까지’ 발간 – 공공데이터, 지자체 공공데이터 활용·검증을 통한 원스톱 솔루션 개발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도시홍수 예측부터 대응까지 솔루션을 개발하고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 KISTI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 도시재난솔루션연구단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창설했다. 단기융합연구과제 ‘고성능컴퓨팅(HPC) 기반 고정밀 홍수모델 개발’과 KISTI 주요사업 ‘국가문제 해결 솔루션 구축’을 통해 홍수 관련 솔루션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회 문제 ‘. 이번 이슈브리프를 통해 도시홍수 솔루션의 핵심기술과 활용사례를 소개합니다. □ 최근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도시 홍수는 강수량 증가, 해수면 상승, 토지 침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도시홍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혼잡, 환경오염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ㅇ기존 수해재해 시스템은 실시간 수해피해 산정을 수행하지만, 결과가 지연되는 등 재난 상황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웠다. 또한, 홍수 발생 시 대응을 위한 홍수 예상지역, 실시간 센서 정보 등 지역 공공데이터 관리는 물론, 위험지역에서 시민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로 기술도 필요했다. □ 이에 따라 KISTI 도시재난솔루션연구단에서는 도시침수피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예측을 위해 사전 피해예측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도시 전체를 3D GIS 기반 시각화 기술로 표시하여 피해 정도를 신속하게 파악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시간 도시 침수 센서와 CCTV 정보를 활용해 침수 위험 수위 도달 시 시민들의 즉시 대피 여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 KISTI 양명석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장은 “KBS 재난방송과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통해 시민들에게 도시홍수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김재수 KISTI 원장은 “부산광역시에 적용된 KUDS 솔루션을 다른 지역으로 확산·보급하기가 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해결책은 시민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향후 정부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행정안전부, 국토부, 한강수해센터, 해양수산부 등의 홍수자료를 통합·표준화·관리해 나가겠습니다. KISTI 환경은 홍수로부터 안전을 보장합니다.”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 KISTI는 과학기술정보 관련 현안을 발굴, 분석하고 시사점과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고 있다.